동국제강, 내수 부진이 미치는 영향과 영업이익 감소의 배경

동국제강, 내수 부진이 미치는 영향과 영업이익 감소의 배경

예상보다 크게 다가온 내수 부진의 여파!

최근 동국제강(종목코드: 460860)의 2024년 3분기 실적 발표가 투자자들 사이에서 큰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동국제강은 국내 봉형강 시장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번 실적 발표는 시장의 예상을 크게 하회했습니다. 특히 내수 시장의 부진과 원재료 가격 하락이 동시에 작용하면서 영업이익이 급격히 감소한 상황입니다. 이러한 실적은 향후 동국제강의 주가와 투자 전략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분석해 보겠습니다.

3분기 실적 분석

2024년 3분기 동국제강의 매출액은 8,386억원으로 전년 대비 22.3% 감소하였으며, 영업이익은 215억원으로 79.6% 감소했습니다. 이러한 실적은 시장 컨센서스인 268억원을 하회하는 수치로, 투자자들에게는 실망스러운 결과입니다. 판매량 감소와 스프레드 축소가 주된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 봉형강 판매량: 67.6만 톤 (YoY -14.6%, QoQ -13.4%)
  • 후판 판매량: 18.4만 톤 (YoY -9.4%, QoQ +2.2%)

봉형강 판매량의 감소는 고정비 부담을 증가시켰으며, 원재료 단가가 하락했음에도 불구하고 판매 가격이 더 큰 폭으로 하락하면서 스프레드가 축소되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동국제강의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특히, 봉형강의 ASP(판매가격)는 3% 하락하였고, 후판의 경우 6% 하락하여 수익성 악화의 주된 원인이 되었습니다.

4분기 전망

4분기에는 봉형강 판매가 73.8만 톤으로 다소 회복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여전히 전년 대비 13.9% 감소할 전망입니다. 이는 주택 착공 감소와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의 지연으로 인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후판 판매량은 3분기와 유사할 것으로 보이며, 정부의 전기요금 인상은 H형강의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4분기 영업이익은 256억원으로 예상되며, 이는 전년 대비 67.4% 감소하더라도 QoQ로는 19.1%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전망은 투자자들에게 긍정적인 신호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투자의견 및 목표주가

하나증권은 동국제강에 대해 투자의견을 'BUY'로 유지하며 목표주가는 15,000원으로 설정하고 있습니다. 현재 주가는 8,410원으로, PBR이 0.24배 수준으로 밸류에이션 부담이 제한적이라는 분석입니다. 또한, 배당수익률이 7~8%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주요 데이터2024년2025년
매출액 (십억원)3,706.23,872.8
영업이익 (십억원)162.3203.6
순이익 (십억원)85.7121.2
EPS (원)1,7282,442

결론

동국제강은 현재 내수 부진과 원재료 가격 하락으로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지만, 향후 봉형강 수요가 회복될 가능성이 있는 만큼 장기적인 관점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특히, 배당수익률이 높고 PBR이 낮은 점은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요소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동국제강에 대한 투자는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으며, 시장의 변화에 따라 전략을 조정해야 할 것입니다.

본 내용은 하나증권의 2024년 10월 28일자 리포트를 참고하여 작성되었으며, 투자 결정 시 투자자 본인의 판단이 중요함을 강조드립니다.

보고서 원본 다운로드
다음 이전